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 건강한 대학원 생활의 필수 요소, 쉼 모든 박사과정 대학원들의 최대 관심사는 졸업입니다. 하루라도 빨리 대학원을 탈출해서 박사타이틀을 달고 살고 싶어 합니다. 졸업 연구를 빨리 진행하고 대학원을 탈출해야 하는 박사과정 학생들에게 있어서 쉼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봅시다. 대학원 생활의 특징 대학원 생활이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언제 졸업할지 모른다는 점입니다. 대학원을 다녀보지 않은 분들은 석사 2년 박사 4년 과정이라고 알고 계신 분들이 많습니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권장 조건에 불과합니다. 대학원 생활의 가장 어려운 점은 졸업 시기는 오직 나의 지도교수만이 알고 있다는 점에서 시작합니다. 지도교수의 허락 여부에 따라서 박사과정의 경우 최장 10년까지도 연장이 되기도 합니다. 대학원 졸업을 위해서 대학원생들은 지도교수에게 졸업시켜 달라고 말하기.. 2023. 1. 15. 이공계 논문 잘 읽는 법 이공계 연구의 출발 지점은 논문 읽기에서 시작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대학원에 처음 진학하게 되면 선배들이 던져주는 것도 연구실에서 작성한 논문입니다. 논문을 처음 읽는 사람들이 논문을 잘 읽어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지 알아봅시다. 논문 읽기의 핵심 : 초록을 통해 논문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파악하라 논문은 한자로 논할 논(論) 자에 글월 문(文) 자를 사용합니다. 즉, 논할 바가 있는 글이라는 의미입니다. 저자가 주장하고자 하는 바가 있는 글이 논문입니다. 이공계의 경우라면 저자가 논하고자 하는 것은 새로운 발견 내용, 기존 연구들 대비 결과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 또는 기존 연구들의 잘못된 점을 고치고 개선하는 방법 등의 내용이 담깁니다. 우리가 글을 읽을 때 쉽게 읽기 위해서는 저자가 말하고.. 2023. 1. 12. 대학원 진학하는 이유, 대학원에서 배우는 것 : 논리의 향상 블로그 이름에서 볼 수 있듯 필자는 가방끈이 긴 공학박사 입니다. 박사가 되는 과정에서 느낀 대학원 진학 전후에 느끼는 대학원에 대한 오해와 더불어, 대학원에 진학해야 하는 이유, 대학원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봅시다. 이공계 대학원에 진학하는 이유 우선 필자는 공학 박사 입니다. 통칭 하여 이공계로 묶어서 말하므로 이공계 대학원 진학에 대한 내용에 대한 부분이 궁금하시다면 제 글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다른 분야에 대해서는 제 글이 도움이 되지 않을 수 도 있으니 참고 수준에서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이공계 대학원에 진학하고자 하시는 분들이 하는 흔한 착각 부터 시작하여 실제로 대학원에 가면 배울 수 있는 것들, 그리고 대학원을 나오고 나면 좋은 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대학원.. 2023. 1. 9. 위 내시경 후기, 수면과 비수면 내시경 모두 받은 사람의 비교 건강검진 또는 위 통증에 대한 검사 목적으로 위내시경을 받아야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위내시경을 받기로 결정을 했다면 해야 하는 선택지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수면내시경을 할 것이냐 비수면 내시경을 할 것이냐입니다. 두 가지 경우에 대하여 제 경험을 비교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위내시경 후기 저는 개인적인 건강 문제로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위내시경을 참 많이도 받았습니다. 참고로 제가 초등학교 6학년이던 때는 1997년으로 수면내시경을 할 것인지, 비수면 내시경을 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지가 없었습니다. 당연히 내시경 하면 비수면 내시경을 먼저 받았습니다. 그리고 너무 어린 나이에 위 통증이 있었기 때문에 그 후로도 정기적으로 내시경을 받아야 했습니다. 성인이 되어서 수면 내시경이 있다는 것을 알게.. 2023. 1. 3.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